전체기사보기 전체 07-05(토) 07-04(금) 07-03(목) 07-02(수) 07-01(화) 06-30(월) 06-29(일) 달력에서 선택 [여의도풍향계]“불행한 과거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 여는 것은 우리세대에게 주어진 소명”- [정치닷컴=이서원] 정세균 국회의장은 4월 18일(수)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2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정 의장은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이후 한일 양국은 불행한 역사를 극복하고 화해와 선린우호협력에 기초한 미래지향적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해 왔다”면서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완전한 동북아 평화 정착을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 견고한 한일 관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정 의장은 이어 “국회도 <한일의회 미래대화>를 정례화 하는 등 긴밀한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 여의도풍향계2018-04-18 [여의도풍향계]정세균 의장, 「한반도 정세변화와 한미 안보·통상 현안 세미나」 참석 [정치닷컴=이서원] 정세균 국회의장은 4월 18일(수)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한반도 정세변화와 한미 안보·통상 현안 세미나」에 참석했다.정 의장은 “지난겨울 성공적으로 치러진 평창동계올림픽과 남북을 오간 문화공연 등으로 한반도에 화해의 기운이 움트고 있다”고 말한 뒤, “어렵게 맞이한 기회를 잘 살려 한반도 비핵화와 통일을 향한 여정에 돌입해야 한다”면서, “한미동맹을 더욱 견고히 다지고 주변국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으로 창의적 해법을 찾아내야 한다”고 밝혔다.정 의장은 한편 “보호주의 장벽을 높이고 있는 미국과 확장적 대외정책을 구사하는 중국 ... 여의도풍향계 > 화제의포토2018-04-18 [여의도풍향계]정 의장,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 [정치닷컴=이서원] 정세균 국회의장이 4월 18일(수)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3회 마이크로바이옴 산업화 포럼에 참석했다.정 의장은 “한때는 농업이 사양산업이라고 생각된 적 있으나, 바이오분야가 발전하면서 농업의 지평이 넓어졌다”라면서 “대표적인 사례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이며, 이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정 의장은 이어, “이 자리를 빌어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의 발전방안이 모색될 수 있길 바란다”면서“우리 국회도 여기 모인 분들과 함께 마이크로바이옴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장치들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 여의도풍향계 > 화제의포토2018-04-18 [여의도풍향계]정세균 의장, 국회생생텃밭 개장식 참석 [정치닷컴=이서원] 정세균 국회의장은 4월 19일(목) 국회생생텃밭 개장식에 참석했다.국회 생생텃밭은 도시농업 확산의 일환으로 지난 2015년부터 국회 내에 120평규모로 조성되었다. 텃밭활동에는 매년 국회의장을 비롯한 여&#8228;야 국회의원들이 참여하고 있다.올 한해 농사 시작을 알리는 이번 행사에는 씨앗·모종·묘목 나눔행사가 진행되었으며, 노웅래·위성곤·조정식·이원욱·송옥주·김현권·김용태 의원, 김성곤 사무총장, 농림축산식품부 김종훈 차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창길 원장, 농협중앙회 허식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출처=국회] 여의도풍향계2018-04-19 [사회문화]우리 나라가 어떻게 일본 식민지가 되었는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카쓰라 태프트 밀약.김정민 박사 강의. 우리 나라가 어떻게 일본 식민지가 되었는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카쓰라 태프트 밀약.김정민 박사 강의.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한국인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아직 잘 모르고 있다. 김정민 박사 강의 한국인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를 아직 잘 모르고 있다. 김정민 박사 강의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한반도, 대전환의 순간 한반도, 대전환의 순간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대통령발 개헌, 국회 문턱 넘을까 대통령발 개헌, 국회 문턱 넘을까 이번 주 jtbc [밤샘토론]에서는 대통령 개헌안 발의로 시작된 국회의 개헌 논의에 대해 집중 점검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 4년 연임제를 중심으로 한 개헌안을 발의했다. 헌법 전문에 부마항쟁, 5.18, 6.10을 추가로 넣고, 토지공개념 도입, 국회의원 소환제와 국민발안제, 공무원 노동3권 보장, 18세 선거권 도입 등을 담은 개헌안은 발표되자마자 논란의 중심에 섰다. 여당은 민주주의 정신을 담고 현재 가치를 담은 안이라 자평했지만, 야당은 청와대 주도의 관제개헌, 색깔론을 더해 비판하는 등 여야 대립은 더욱더 첨예해지고 있다. 과연 국회...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자유와 사랑을 느끼며 살자 - 철학자 강신주 자유와 사랑을 느끼며 살자 - 철학자 강신주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나는 누구인가]자본주의에 맞서라 상처받지 않을 권리(강신주 철학자) 프로그램은 경희대학교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가 함께 기획하고, SBS CNBC가 촬영한 인문학, 최고의 공부 '나는 누구인가'의 강연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우리는 왜 사랑에 목숨 거는가? [강신주 철학 이야기] 우리는 왜 사랑에 목숨 거는가? [강신주 철학 이야기] 당신의 삶은 무게가 있나요? 혹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느끼고 계시지는 않나요? 사랑하거나 사랑받는 존재가 없을 때, 우리는 살아갈 수 있는 이유를 상실하게 됩니다. '사랑'에 관한 오해와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김영하 책 읽는 시간_27.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김영하 책 읽는 시간_27.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사회문화2018-04-19 처음 이전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