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전체 05-03(토) 05-02(금) 05-01(목) 04-30(수) 04-29(화) 04-28(월) 04-27(일) 달력에서 선택 [사회문화]자유와 사랑을 느끼며 살자 - 철학자 강신주 자유와 사랑을 느끼며 살자 - 철학자 강신주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나는 누구인가]자본주의에 맞서라 상처받지 않을 권리(강신주 철학자) 프로그램은 경희대학교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가 함께 기획하고, SBS CNBC가 촬영한 인문학, 최고의 공부 '나는 누구인가'의 강연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우리는 왜 사랑에 목숨 거는가? [강신주 철학 이야기] 우리는 왜 사랑에 목숨 거는가? [강신주 철학 이야기] 당신의 삶은 무게가 있나요? 혹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느끼고 계시지는 않나요? 사랑하거나 사랑받는 존재가 없을 때, 우리는 살아갈 수 있는 이유를 상실하게 됩니다. '사랑'에 관한 오해와 제대로 사랑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김영하 책 읽는 시간_27.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김영하 책 읽는 시간_27.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세바시 275회 자기 해방의 글쓰기 | 김영하 소설가 글을 쓴다는 것은 인간에게 남겨진 최후의 희망입니다. 전쟁터, 감옥, 병상, 심지어 나치의 수용소에서도 인간들은 글을 썼습니다. 글을 쓰려는 의지가 남아있는 그 인간은 자유롭습니다. 글쓰기는 모든 억압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킵니다. 그 억압에는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억압까지도 포함됩니다. 글을 쓰기 시작하는 순간, 우리는 전혀 다른 존재가 됩니다. 그것이 바로 자기해방의 글쓰기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유시민 작가의 글쓰기 세가지 방법 - 정치인에서 작가로 돌아온 유시민, 그의 인생을 알아본다 - '어라 이렇게 쉽게 쓰는게 맞아?' 라고 생각드는 게 가장 좋은 글쓰기.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유시민이 들려주는 논리적 글쓰기 2부 Q/A 유시민이 들려주는 논리적 글쓰기 2부 Q/A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유시민이 들려주는 논리적 글쓰기 1부 작가가 된 유시민 선생이 2015년 서울대에서 강의한 '유시민이 들려주는 논리적 글쓰기' 강의 입니다. 사회문화2018-04-19 [사회문화]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배울게 없다!"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배울게 없다!" 사회문화2018-04-19 [행정][풀영상] 뉴스룸 긴급토론 - 가상통화 신세계인가, 신기루인가 열풍을 넘어 광풍 조짐마저 보이는 가상통화 거래 시장. 그 해법을 모색하고자 JTBC 뉴스룸에서 토론의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Q. 변동성 큰 비트코인…화폐로 볼 수 있나? Q. 가상통화로 실제 거래 해본 적 있나? Q. 블록체인 기술, 어떤 범용성 있나? Q. '가상통화-블록체인' 분리 대응 가능한가? Q. 어려워지는 비트코인 채굴…'대안' 있나? Q. 정부, 향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행정2018-01-19 [행정]밤샘토론 89회 - 요동치는 4월 정국, 쟁점과 해법은? 요동치는 4월 정국, 쟁점과 해법은? JTBC [밤샘토론]에서는 꽉 막힌 4월 국회를 진단하고, 두 달 앞으로 다가온 6.13지방선거를 전망한다. 방송법 개정안 처리를 둘러싸고 시작된 여야 대치가 개헌,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외유 논란 등 더욱더 결렬해지고 있는 상황. 개점휴업 상태인 4월 국회는 개헌과 국민투표법 개정, 일자리 추경 처리, 그리고 각종 민생법안 처리 등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인가? "요동치는 4월 정국, 쟁점과 해법은?"을 주제로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 자유한국당 정태옥 의원, 바른미래당 오신환 의원, 평화와정의모임 이용주 의원까지 원내 4개 교섭단체 대표 ... 행정2018-04-15 [사회문화][뉴스룸 원내대표 4인 긴급토론] 쟁점①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18일 밤 9시부터 국회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이 참석하는 뉴스룸 긴급토론을 진행했습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동철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그리고 노회찬 평화와정의 원내대표가 토론에 참석했습니다. 최근 이슈로 떠오른 '드루킹 논란'과 함께, 김기식 전 금감원장을 둘러싼 문제, 남북 정상회담 등을 놓고 치열한 토론을 이어갔습니다. 사회문화2018-04-19 처음 이전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