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닷컴=편집국]
조용병 은행연합회장과 소속 은행장들은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지난 21일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은행들이 그동안 얻은 이익 중 2조 원을 거둬 1조 6천억 원은 이자 환급에, 나머지 4천억 원은 임대료 지원이나 취약계층지원,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등에 쓰겠다는 내용이다.
[사진=강성희 의원]
은행이 고금리 장사로 거둔 초과이익의 사회 환원은 바람직한 일이다. 하지만 이번 민생금융 지원방안은 규모 자체가 부족하다. 일반은행의 당기순이익 증가분(2021년에서 2022년) 3.3조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2조 원 규모의 지원은 그동안 은행이 거둔 폭리, 고금리에 따른 국민의 고통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에 발표한 민생금융 지원방안은 또 정작 지원이 절실한 취약계층 상당수를 배제하고 있어 그들의 고통을 덜기에는 크게 미흡한 수준이다. 실질적 지원보다는 ‘현금 살포’로 여당의 총선 지원에 초점이 맞춰진 것 아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다.
고금리로 국민 대다수가 고통받고 있지만, 가장 취약한 계층은 저소득·저신용·다중채무자와 같은 취약계층이다. 은행의 초과이익은 제일 먼저 이들에 대한 지원에 사용돼야 한다. 하지만 자영업자로 한정하면서 지원이 필요한 개인 채무자는 원천적으로 배제됐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만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소득과 자산, 신용점수를 따지지 않다보니, 187만 자영업자에게 소액의 현금을 나눠주는 방식으로 전락했다. 지원 대상자를 늘리는 데 급급하다 보니 금액이 분산돼 2조 원이라는 적지 않은 돈을 쓰면서도 지원효과가 퇴색할 수밖에 없다.
은행들이 막대한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은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가 폭증했기 때문이다. 가계부채 축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되 이 과정에서 피해를 입을 취약계층을 집중 지원해야 한다. 이런 원칙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은, 은행이 저소득·저신용·다중채무자의 채무를 과감하게 감면하는 것이다. 이미 은행들은 충당금을 충분히 쌓았으므로 건전성에도 큰 영향이 없다. 그러면서도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효과는 매우 크다. 초과이익으로 축적한 은행의 재무적 여력은 이런 데 사용돼야 한다. 이번 민생금융 지원방안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채무 감면이 빠진 것은 이런 점에서 크게 아쉽다.
정부가 은행을 압박하는 방식으로 이번 방안을 내놓았지만, 정부가 직접 해야 할 일도 있다. 취약계층의 연체채권를 적극적으로 매입해 채무를 감면해야 한다. 기존 사업의 규모를 더 키우는 등의 노력과 병행해야 한다. 민생금융 지원 방안은 은행이 아닌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사람도 아예 배제됐다. 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이야말로 정부의 몫이다.
정부 규제에 따라 영업하고 문제가 생기면 공적자금의 지원을 받는 은행의 폭리는 분명히 비판받아야 한다. 하지만 은행이 거둔 초과이익은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려는 정부 정책, 여기에 맞춰 부실하게 이뤄진 금융 감독의 산물이다. 이번 지원방안 발표로 윤석열 정부의 정책 실패를 가리려 해선 안 된다. 주택담보대출 위주의 손쉬운 영업에 치중하느라 ‘전당포와 다르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는 은행 영업행태와 구조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민생지원 금융방안으로 메꾸려 해서도 안 된다.
진보당 국회의원 강성희